5시 정치부회의 제2의 도약…"방송의 새판 짠다"
JTBC 중앙사보 2016.06.09
국내 최초 SNS 라이브 연계 2년2개월간 새 판짜기 전력

JTBC 보도국이 만드는 ‘5시 정치부회의’가 방송 2주년을 맞았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시사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한 데 이어 지난 4월 총선 때는 국내 최초로 ‘페이스북 라이브’를 통해 생중계하는 기록도 세웠다. 다음 달 개편을 앞두고 5시 정치부회의 오대영 기자가 ‘회의’ 형식으로 프로그램 제작 뒷얘기를 전했다.

 

JTBC 정치 프로그램 ‘5시 정치부회의’의 출연진들이 생방송 준비를 끝내고 기념 촬영을 했다. 왼쪽부터 여당 반장 오대영 기자, 청와대 반장 임소라 기자, 이상복 정치 2부장, 야당 반장 유상욱 기자, 강지영 아나운서, 국회 반장 김정하 차장. 5시 정치부회의는 다음 달에 개편을 한다.

 

이상복 정치2부장(이) : ‘5시 정치부회의(다정회, 다섯 시 정치부회의의 앞글자를 따온 말로 시청자들이 지어준 애칭이다)’ 시작합니다. 오늘은 사보를 통해 다정회 소식을 전합니다. 먼저 강지영 아나운서가 40초 발제를 해 볼까요?

 

강지영 아나운서(강) : ①다정회가 2014년 4월 7일 첫발을 뗀 이후 2년2개월 만에 사보에 실리는 군요. 만시지탄이 있습니다(웃음). 다정회가 걸어온 길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②저희가 제작한 영상들이 온라인에서 화제입니다. 정치권에서 벤치마킹하기도 했습니다. ③국내 처음으로 편집회의 과정을 생중계해 온 다정회는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 중입니다. 이 : 본격적으로 얘기해 봅시다. 김정하 국회반장은 방송을 시작한 지 1년이 다 돼 가는군요?
 

김정하 차장(김) : 지난해 7월 보도국으로 왔습니다. 1996년 입사 이래 신문기자만 하다 제2의 인생이 시작된 것이죠. 인정사정없이 곧장 생방송에 투입됐습니다. 처음 몇 주간 생방송 스트레스 때문에 위염이 생겨 병원에 다녔습니다.


유상욱 기자(유) : 손석희 사장이 최근 “어떻게 신문기자가 방송을 더 잘하느냐”고 말씀하더군요. 이상복 부장과 김정하 반장에 대한 칭찬이었죠. 김 반장은 오전 7시30분 사무실 문을 처음 엽니다. 비결은 역시 성실성이군요.


: 지난 2년여 간 다정회는 많은 성과를 냈습니다. 특히 ‘페이스북 라이브’와 본방송을 연계한 시도는 국내 최초였죠?
 

오대영 기자(오) : 4월 1일 대구에서 본방송과 페이스북 라이브의 협업을 했지요. 그 이후 강지영 아나운서가 사전 투표하는 과정을 JTBC와 페북에서 동시 생중계했고, 총선 당일에는 유상욱·오대영·강지영 세 명이 페북으로 개표방송을 했는데 조회수가 5만8000건이 넘을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임소라 기자(임) : 다정회의 특징은 뭐니뭐니해도 성역 없는 전방위적 비판이 아닌가 싶습니다. 지난 설엔 원유철 당시 원내대표가 “가장 무서운 프로그램”이라며 “명절이니 잘 봐달라”는 로비(?)까지 했죠. 정치권에서 항의도 많이 받는데요, 그렇지만 팩트가 틀리거나 오보를 해서 문제 된 적은 없습니다.


: 다정회의 방송 시간은 70분이지만 준비과정은 10시간 넘게 걸립니다. 하루종일 벌어지는 사안 하나하나를 세세히 살펴야 하고 핵심을 뽑아 고품질 콘텐트로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 방송은 종합예술이라는 걸 실감합니다. 다정회는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컴퓨터그래픽(CG)과 싱크·자막·소품이 훨씬 많습니다. 노승옥 CP와 김기중 PD를 비롯한 24명의 스태프가 쉴 새 없이 뛰어다닙니다. 점심 식사는 주문 도시락으로 때웁니다.

 


: 다정회에서 발굴한 특종, 선도한 이슈도 소개하죠. 강지영 아나운서가 최근 대단한 인터뷰를 했잖아요?


: 5월 2일자 ‘강지영의 현장에서’는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당선자를 인터뷰했습니다. 더민주에서 김종인 대표 비토 목소리가 커지던 시기인데요. 손 당선자가 김 대표를 향해 “노인은 안 바뀐다. 종편만 보는 것 같다”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다음날 다수의 일간지와 방송사에서 제 인터뷰를 인용해 보도했죠.
 

: ‘화제의 영상물’도 많았습니다. 최근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에서 저희가 ‘박지원 vs 박승춘’의 전설적 논쟁 영상을 재가공했는데 온라인에서 반응이 폭발적입니다. ‘조경태 vs 강용석’의 2011년 레전드급 설전도 페북 조회수 100만 건을 넘겼습니다.
 

: 다정회는 정치 프로그램 중 20~49세 시청률 1위입니다. 인터넷에서도 언급량 TOP 5에 늘 포함됩니다.
 

: 김무성 대표의 ‘옥새 들고 나르샤’도 다정회에서 만든 패러디인데, 나중에 새누리당에서 총선 홍보영상으로 벤치마킹하기도 했죠. 이렇게 큰 획을 그어온 다정회가 이제는 새롭게 도약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 다정회는 2014년 김필규 CP와 1기 출연진(최상연·남궁욱·이성대·양원보·오대영), 이후 노승옥 CP와 2기 출연진(이상복·김정하·유상욱·오대영·임소라·강지영)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더 신선하고 파격적이면서도 JTBC만이 만들 수 있는 콘텐트로 가야 한다고 봅니다. 저는 M본부의 ‘복면가왕’처럼 정치인의 익명을 보장해 토론하도록 하는 ‘복면토론’을 연구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S본부의 ‘판타스틱 듀오’처럼 정치인에게 찰떡궁합의 보좌관을 찾아주는 ‘여의도 판듀’도 생각해 봅니다.
 

: 저는 ‘공개방송’을 했으면 합니다. 다정회와 JTBC를 사랑해 주시는 시청자들이 스튜디오에 와서 토론에 동참하면 좋을 것 같아요. ‘SNS 라이브’도 지속적으로 활용했으면 합니다.
 

: 정리합니다. 오늘 사보의 기사 제목은 ‘다정회 제2의 도약…“방송의 새판 짠다”’로 정하겠습니다.

오대영 기자 JTBC
첨부파일
이어서 읽기 좋은 콘텐트
목록